로 시작하는 세 글자의 단어: 706개

한 글자:1개 두 글자:341개 🌻세 글자: 706개 네 글자:793개 다섯 글자:469개 여섯 글자 이상:763개 모든 글자:3,073개

  • 가도 : (1)18세기부터 19세기까지 우리나라에서 유행하였던 정물화. 책, 벼루, 먹, 붓, 붓꽂이, 두루마리꽂이 따위의 문방구류를 기본으로 하면서 꽃병, 주전자, 시계 따위의 방 안에서 쓰는 물건들을 배합하여 그렸다.
  • 가례 : (1)‘서까래’의 방언
  • 가리 : (1)‘서캐’의 방언
  • 각대 : (1)조선 시대에, 정일품 벼슬아치가 허리에 차던 물소의 뿔로 만든 띠.
  • 각방 : (1)코뿔소의 뿔을 곱게 빻아 만든 가루.
  • 간경 : (1)신약 성경 가운데 예수의 제자들이 편지 형식으로 쓴 성경. 바울의 서간 열네 편과 야고보, 베드로, 요한, 유다 등이 쓴 일곱 편이 있다.
  • 간도 : (1)백두산 부근에서 시작하여 단둥(丹東)에 까지 이르는 압록강 유역의 만주 지방.
  • 간문 : (1)편지에 쓰는 특수한 형식의 문체. 상대편에게는 경어(敬語)를 쓰고, 자신은 겸양의 말을 쓰는 것이 특징이다.
  • 간시 : (1)편지글의 형식으로 이루어진 시.
  • 간전 : (1)편지를 쓰는 용지. 책처럼 되어 있는데 쓴 다음에 한 장씩 뜯어내게 되어 있다.
  • 간지 : (1)편지를 쓰는 종이.
  • 간집 : (1)편지를 모아 엮은 책.
  • 간체 : (1)편지 형식으로 된 문체.
  • 감질 : (1)‘소꿉질’의 방언
  • 강성 : (1)중국 서남쪽에 있던 옛 성. 1928년에 설치하였다가 1955년에 폐지하였다. 성도(省都)는 캉딩(康定)이었다. ⇒규범 표기는 ‘시캉성’이다.
  • 거리 : (1)‘아가미덮개’의 방언 (2)‘아가미’의 방언 (3)‘석동’의 방언
  • 거비 : (1)‘새미’의 방언
  • 거정 : (1)조선 전기의 학자(1420~1488). 자는 강중(剛中). 호는 사가정(四佳亭)ㆍ정정정(亭亭亭). 성리학을 비롯하여 천문ㆍ지리ㆍ의약 따위에 정통하였고, 문장과 글씨에도 능하여 ≪경국대전≫, ≪동국통감≫ 따위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저서에 ≪동인시화≫, ≪동문선≫, ≪필원잡기≫ 따위가 있다.
  • 거질 : (1)‘설거지’의 방언
  • 건학 : (1)중국 청나라 초기의 학자ㆍ정치가(1631~1694). 자는 원일(原一). 호는 건암(健庵). 강소성 출신이며 주로 학술 행정의 관직을 맡았다. 내각 학사 겸 예부 시랑(禮部侍郞)과 형부 상서(刑部尙書)를 역임하였다.
  • 겁다 : (1)‘쓸쓸하다’의 북한어. (2)마음에 섭섭한 느낌이 있다.
  • 겊다 : (1)쓸쓸하고 외로워 슬프다. ⇒규범 표기는 ‘서글프다’이다. (2)섭섭하고 언짢다. ⇒규범 표기는 ‘서글프다’이다.
  • 경곡 : (1)고려 시대의 가요. 서경의 백성들이 임금을 찬양하는 뜻으로 불렀다고 하는데, 가사는 전하지 않고 노래의 유래만이 ≪고려사악지≫와 ≪동국문헌비고≫에 전한다. 작가와 연대는 알 수 없다.
  • 경권 : (1)고려ㆍ조선 시대에, 벼슬아치의 임명과 법령의 개정ㆍ폐지 등에 서명하는 권리를 이르던 말. 고려 시대에는 어사대와 중서문하성의 낭사가 담당하였고, 조선 시대에는 사헌부와 사간원이 담당하여 왕권을 견제하는 기능을 하였다.
  • 경덕 : (1)조선 중종 때의 학자(1489~1546). 자는 가구(可久). 호는 복재(復齋)ㆍ화담(花潭). 이기론(理氣論)의 본질을 연구하여 이기 일원설을 체계화하였으며, 수학ㆍ역학도 깊이 연구하였다. 저서에 ≪화담집≫이 있다.
  • 경문 : (1)자연의 경치를 서술한 글.
  • 경시 : (1)자연의 경치를 읊은 시.
  • 경우 : (1)조선 인조 때의 문신(1573~1645). 자는 시백(施伯). 호는 만사(晩沙). 정묘호란 때 인조를 강화도로 호종하였으며, 벼슬은 우의정에 이르렀다.
  • 경지 : (1)조선 시대에 만든 평양의 지리지. 선조 23년(1590)에 평안도 관찰사 윤두수(尹斗壽)가 엮어 펴낸 원지(原志)와 영조 6년(1730)에 그의 후손 윤유(尹游)가 엮어 펴낸 속지(續志)를, 헌종 3년(1837)에 합간하였으며, 철종 5년(1854)에 그 지방 사람이 편집한 후속지(後續志)를 후인이 합본하였다. 오늘날 전하는 지방지 가운데 편찬 연도가 가장 오래된 것으로, 평양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원지 9권, 속지 5권, 후속지 2권.
  • 계병 : (1)조선 시대에, 좋은 일이 있을 때 그 일을 기념하여 만든 병풍.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에는 그 일을 맡아보던 도감(都監)에서 만들었으며, 친목을 도모하거나 과거 시험에 합격한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만들기도 하였다.
  • 계식 : (1)사제를 주교로 올려서 서품하는 의식. 보통 사도의 축일에 행하여 주교가 사도의 후계자임을 나타낸다.
  • 고문 : (1)임금이 종묘에 고하는 내용을 쓴 글.
  • 곡초 : (1)국화과의 두해살이풀. 높이는 15~40cm이고 전체가 흰 솜털로 덮여 있으며, 잎은 어긋나고 거꾸로 된 피침 모양이다. 여름에 노란 두상화가 산방(繖房) 화서로 달리고 열매는 수과(瘦果)를 맺는다. 잎과 어린싹은 떡을 해 먹는다. 산과 들에 저절로 나는데 동부 아시아에 널리 분포한다.
  • 곤체 : (1)중국 송나라 초기에 유행한 한시체. 당나라 말의 시인 이상은과 온정균의 시풍을 모방하였으며, 화려한 수사와 대구(對句)ㆍ고사(故事)를 중시하였다.
  • 골익 : (1)정중면에 있는 서골에서 양쪽 옆으로 뻗은 부분.
  • 과청 : (1)꼭지를 도려내고 꿀이나 설탕을 넣은 수박.
  • 관복 : (1)고려 시대에 6품 이하의 하급 관원인 서관이 입는 공복. 녹색 옷에 검은 가죽띠를 맸다.
  • 광계 : (1)중국 명나라의 학자ㆍ정치가(1562~1633). 자는 자선(子先). 호는 현호(玄扈). 저서에 마테오 리치와의 공역 ≪측량법의(測量法義)≫ 외에 ≪기하원본≫, ≪숭정역서≫ 따위의 역서와 편저 ≪농정전서≫가 있다.
  • 광범 : (1)구한말의 정치가(1859~1897?). 자는 서구(敍九). 호는 위산(緯山). 갑신정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자 일본으로 망명하였다. 갑오개혁 후에 법무 대신을 거쳐 주미 공사(駐美公使)로 부임하였다.
  • 교증 : (1)‘쥐물림병’의 전 용어.
  • 구권 : (1)서부 유럽 지역. 영국, 프랑스 등 주로 자본주의 세력권에 드는 지역이다.
  • 구니 : (1)무릎 아래에서 앞 뼈가 있는 부분. ⇒규범 표기는 ‘정강이’이다.
  • 구레 : (1)‘가죽’의 방언
  • 구세 : (1)‘씀바귀’의 방언
  • 구식 : (1)유럽과 북아메리카 지역에 사는 사람들의 형식이나 방법.
  • 구어 : (1)서양을 이루는 유럽과 북아메리카에서 쓰는 모든 언어.
  • 구인 : (1)서양 여러 나라의 사람.
  • 구적 : (1)방식이나 사고, 외모 따위가 서양의 것을 닮거나 그런 특징을 지닌. 또는 그런 것.
  • 구파 : (1)1840년대에 제정 러시아에서, 슬라브주의에 대립하던 사상계의 한 파. 역사 발전에 있어서 독자적인 형태를 부정하고 서구 부르주아지의 진보성을 추구하였다.
  • 구형 : (1)서양 사람들의 특징을 가진 유형.
  • 구화 : (1)서구인의 문화나 생활 방식에 영향을 받아 닮아 감. 또는 그렇게 하게 함.
  • 국초 : (1)국화과의 두해살이풀. 높이는 15~40cm이고 전체가 흰 솜털로 덮여 있으며, 잎은 어긋나고 거꾸로 된 피침 모양이다. 여름에 노란 두상화가 산방(繖房) 화서로 달리고 열매는 수과(瘦果)를 맺는다. 잎과 어린싹은 떡을 해 먹는다. 산과 들에 저절로 나는데 동부 아시아에 널리 분포한다.
  • 궁록 : (1)조선 광해군 때에, 궁녀가 쓴 것으로 추정되는 한글 수필. 광해군 5년(1613)에 광해군이 어린 아우 영창 대군을 죽이고 영창 대군의 어머니 인목 대비를 서궁에 가두었을 때의 정경을 일기체로 적었다. ≪인현왕후전≫, ≪한중록≫과 더불어 궁중 문학의 대표적 작품이다.
  • 권기 : (1)책을 많이 읽고 교양이 쌓여, 몸에서 풍기는 책의 기운.
  • 궐이 : (1)‘피라미’의 방언
  • 귀다 : (1)서로 바꾸다. (2)서로 달리하다. (3)섞다. 모으다.
  • 귀포 : (1)제주특별자치도 남부에 있는 시. 항구 도시이며, 정방 폭포ㆍ연외천ㆍ천지연 폭포 따위의 많은 관광 자원이 있다. 감귤ㆍ파인애플 따위의 특용작물 재배가 활발하며, 서귀포항을 중심으로 연근해 어업도 활발하다. 2006년 7월, 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 자유 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에 의해 남제주군과 통합하여 자치시에서 행정시인 서귀포시가 되었다. 면적은 870.40㎢.
  • 그럭 : (1)‘서걱’의 방언
  • 그미 : (1)‘곰팡이’의 방언
  • 글새 : (1)‘서까래’의 방언
  • 글세 : (1)‘서까래’의 방언
  • 글픔 : (1)쓸쓸하고 외로운 감정.
  • 글피 : (1)쓸쓸하고 외로워 슬프게. (2)섭섭하고 언짢게.
  • 긇다 : (1)서글퍼하다.
  • 금보 : (1)양금식 육보로 된 옛 악보의 하나. 1책의 사본.
  • 기관 : (1)일반직 4급 공무원의 직급. 부이사관의 아래, 사무관의 위이다. (2)대한 제국 때에, 각 관청에서 기록 따위를 맡아보던 주임관.
  • 기국 : (1)유럽 연합 집행 위원회의 고위 중앙 관료 기구. 집행 위원회의 위원장에게 직접 보고를 하며, 사무총국과 기타 기구들의 전반적인 업무를 위원장과 행정적으로 연결한다. 집행 위원회의 사무총장이 관할한다.
  • 기랑 : (1)대한 제국 때에, 각 관청에서 기록 따위를 맡아보던 판임관.
  • 기력 : (1)예수 그리스도가 태어난 해를 기원으로 하는 책력. 서양에서 처음 쓰기 시작하여 현재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다.
  • 기발 : (1)서문과 본문과 발문을 아울러 이르는 말.
  • 기백 : (1)평안도 관찰사를 멋스럽게 이르던 말.
  • 기보 : (1)일반직 9급 공무원의 직급. 서기의 아래이다.
  • 기소 : (1)한 언어의 문자 체계에서 음소를 표시하는 최소의 변별적 단위로서의 문자 혹은 문자 결합. 예를 들어 음소 /p/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pin의 p, hopping의 pp, hiccough의 gh는 모두 한 자소의 구성원이다.
  • 기원 : (1)소설가ㆍ언론인(1930~2005). 1954년 서울 대학교 상과 대학을 중퇴하고, 1956년 황순원의 추천을 받아 ≪현대문학≫에 단편 <안락사론>과 <암사지도>를 발표하며 문단에 나왔다. 조선일보, 서울신문 등의 기자를 거쳤고, 한국 방송 공사 사장을 역임하였다.
  • 기장 : (1)서기의 우두머리. (2)주로 사회주의 정당에서, 중앙 집행 위원회에 딸린 서기국(書記局)을 통솔하는 직위. 또는 그 직위에 있는 사람. (3)성전의 헌납금의 기록을 감시하고 중요한 공무를 맡아보는 고관.
  • 기전 : (1)기원 원년 이전. 주로 예수가 태어난 해를 원년으로 하는 서력기원을 기준으로 하여 이른다.
  • 기정 : (1)신라 때에 둔, 육기정의 하나. 지금의 경주의 서쪽에 둔 행정 구역으로, 경덕왕 때 두량미지정을 고친 것이다.
  • 기직 : (1)서기의 직분이나 직무.
  • 기체 : (1)문장을 지을 때에, 한자를 우리말의 순서대로 배열하던 한자 차용 표기법. 조사나 어미 따위의 표기는 없었으며, 뒤에 이두(吏讀)로 발전하였다. 명칭은 1934년에 발견된 ‘임신서기석’에서 유래한다.
  • 길사 : (1)중국 명나라 때의 벼슬. 진사에 합격한 사람 가운데 문학이나 서예 방면에서 우수한 사람을 골라 임명하였다. 처음에 각 관서에 두었다가 후에 한림원에 예속되었다.
  • 까락 : (1)‘서까래’의 방언
  • 까랑 : (1)‘서까래’의 방언
  • 까래 : (1)마룻대에서 도리 또는 보에 걸쳐 지른 나무. 그 위에 산자를 얹는다. (2)‘서캐’의 방언
  • 까리 : (1)‘서까래’의 방언 (2)‘서캐’의 방언
  • 깨래 : (1)‘서까래’의 방언
  • 깨리 : (1)‘서까래’의 방언
  • 꺼랑 : (1)‘서껀’의 방언
  • 꾸다 : (1)‘섞다’의 방언
  • 끄다 : (1)‘서럽다’의 방언 (2)‘섞다’의 방언
  • 끄래 : (1)‘서캐’의 방언
  • 끼다 : (1)‘섞다’의 피동사. ⇒규범 표기는 ‘섞이다’이다. (2)‘섞다’의 피동사. ⇒규범 표기는 ‘섞이다’이다.
  • 끼래 : (1)‘서까래’의 방언
  • 나다 : (1)‘세나다’의 방언 (2)‘시원하다’의 방언
  • 나무 : (1)엽병이 거의 무모이고 중부 이남에 분포하며 표고의 버섯나무으로 이용되는 나무.
  • 나미 : (1)‘사내아이’의 방언
  • 나벌 : (1)‘신라’의 옛 이름. (2)‘경주’의 옛 이름.
  • 나이 : (1)‘사나이’의 방언
  • 나지 : (1)‘사내아이’의 방언
  • 낙히 : (1)장난이 심하고 하는 짓이 극성맞게.
  • 날미 : (1)‘사내아이’의 방언
2 3 4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45개) : 사, 삭, 삮, 삯, 산, 살, 삵, 삶, 삷, 삼, 삽, 삿, 상, 샅, 샆, 새, 색, 샋, 샌, 샐, 샘, 샙, 샛, 생, 샤, 샥, 샨, 샬, 샴, 샵, 샷, 샹, 섀, 섐, 섕, 서, 석, 섟, 선, 설, 섥, 섬, 섭, 섯, 성, 섶, 세, 섹, 센, 섿, 셀, 셈, 셉, 셋, 셍, 셑, 셓, 셔, 셗, 션, 셤, 셧, 셮, 셰, 셸, 솀, 솃, 소, 속, 손, 솔, 솕, 솜, 솝, 솟, 송, 솣, 솤, 솥, 솧, 솨, 솩, 솰, 쇄, 쇅, 쇔, 쇠, 쇡, 쇤, 쇰, 쇼, 숀, 숄, 숌, 숏, 숑, 숗, 수, 숙, 숚 ...

실전 끝말 잇기

서로 끝나는 단어 (3,499개) : 택서, 홀리스ㆍ테일러 보고서, 퍼그밀 믹서, 적화 명세서, 고려 말 화령부 호적 관련 문서, 괴문서, 출원 증명서, 기능 명세서, 비평서, 락서, 지급 명세서, 운전 지시서, 사망 진단서, 평가 보고서, 정보 제출서, 연속 믹서, 온도 센서, 사업 보고서, 사업별 조달 계획서, 다운 계약서, 국세 환급금 통지서, 프리프로세서, 모집 계획서, 바로우 보고서, 김해병서, 회계 보고서, 왕홍서, 나서, 경력 증명서, 서비스 레벨 보증서 ...
서로 끝나는 단어는 3,499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서로 시작하는 세 글자 단어는 706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